요즘과 같은 고물가 시기에 저소득층과 청년등을 대상으로 교통비 절감을 위한 알뜰 교통카드 지원 혜택이 확대되었으며 사용 가능한 카드사도 기존 신한, 우리, 하나, 로카, 티머니, DGB 등 6개 카드사에서 국민, 농협, BC, 삼성, 현대 등 5개 사가 추가되어 총 11개의 카드사로 선택의 폭이 다양해졌습니다.
알뜰 교통카드와 그 사용으로 인한 교통비 30% 절약 혜택까지 알아보겠습니다.
알뜰교통카드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한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 입니다.
국토교통부의 대도시권 광역 교통위원회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알뜰 교통카드 적립 금액을 최대 연 11만 원 추가로 절감할 수 있도록 2023년 3월부터 마일리지 적립액을 올리고 한도를 적립 횟수 상한을 월 60회로 상향하여 월 1.5~6.6만 원 절감할 수 있는 알뜰 교통카드 플러스를 오는 7월에 선보이는 지원을 늘려간다고 합니다.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기준(2023년 03월부터)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의 저소득층일 경우 3월부터 1회 교통 요금이 2천 원 미만 일 경우 500원에서 700원(월 최대 30,800원), 1회 교통 요금이 2천원~3천 원 일 경우 700원에서 900원(월 최대 39,600원), 1회 교통 요금이 3천원 이상일 경우 900원에서 1,100원(월 최대 48,400원)의 마일리지로 아래와 같이 추가 상향 조정 되었습니다.
청년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
기본 마일리지 적립 대상자 중 만 19세 ~ 34세를 대상으로 2023년 1월부터 마일리지 적립을 상향 지원 합니다.
마일리지 적립 방식
마일리지 적립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이동할 경우 본인 이동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저소득층과 청년층은 마일리지를 추가로 적립받을 수 있습니다. 평소처럼 버스를 타러 집을 나설때, 정류장에서 회사까지 걸어갈 때를 이용하여 마일리지를 적립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사용 절차
알뜰 교통카드의 경우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친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를 신청 후, 알뜰 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하고, 카드 수령 후 회원가입을 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집에서 출발할 때 "출발" 버튼을 클릭, 알뜰 교통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후 도착지에서 "도착" 버튼을 눌러 주는 방식입니다. 출발과 도착을 항상 눌러줘야 한다는 다소 불편한 점이 있을 수 있지만 이 카드로 최대 30%의 대중교통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면 해볼 만합니다.
알뜰 교통 카드 카드 선택
알뜰 교통 카드는 신한, 우리, 하나 카드뿐만 아니라 국민, 농협, 삼성, 현대 등 11개의 카드사에서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어떤 카드사의 상품이 좀 더 유리한지 확인하고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활용 사례
위는 알뜰 교통카드 활용 사례입니다. 대중교통 이용과 연계한 보행/자전거 이용거리에 대한 마일리지 최대 800m까지 250원 적립, 최대 20% 할인을 받아 출근 시 250원~450원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위의 나 알뜰씨처럼 이용한다면 최대 30%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알뜰 교통카드 알아보기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이미지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서울 청년 수당 / 1차 모집 기간, 지원대상, 지원금 (0) | 2023.03.07 |
---|---|
JTBC '뭉뜬 리턴즈 패키지 말고 배낭여행' 방송 일정 및 예고편 (0) | 2023.03.07 |
2023 광양 매화 축제, 매화 마을 개화시기 (0) | 2023.03.06 |
미스터 트롯2, TOP10 결승 진출자 명단 (0) | 2023.03.03 |
한국 애플페이 출시 및 사용법, 사용처(교통 카드 기능) (0) | 2023.0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