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AI 챗 GPT가 세계적 화제를 모으자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에서도 챗GPT의 성능을 개선한 AI 챗봇을 공개 했습니다. 특히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 '챗GPT'를 적용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새로운 검색엔진 빙(Bing)을 공개한 후 빙의 사용자가 급증했습니다.
2023년 2월 7일(현지 시각) 마이크로소프트(MS)의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워싱턴주 레드먼드에 위치한 마이크로소프트 본사에서 행사를 열고 챗GPT가 도입된 새로운 검색엔진 빙(Bing)을 발표했습니다. CEO는 "검색의 새로운 시대를 열겠다. 더 유연하고 빠르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 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챗GPT가 도입되어 새로워진 빙(Bing)의 기능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빙(Bing) 접속 방법
빙(Bing)을 사용하려면 대기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야 합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 빙(Bing)에 로그인 후 신청하고 크롬 확장 프로그램에 빙을 설치해야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회원가입을 하거나 이미 회원가입이 되어 있는 경우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을 합니다. 로그인 후 아래에 보이는 대기목록에 등록을 누르면 대기자 등록화면이 나옵니다. 대기 목록에 있다는 문구가 뜨고 순서가 되면 로그인 한 계정 이메일로 알려줍니다.
대기가 오래 걸린다면 새 Bing에 더 빠르게 액세스를 누르면 대기리스트에서 앞서가는 방법을 알려 줍니다. PC에서 Microsoft를 기본값으로 설정 해 주고, 화면에 출력된 QR 코드를 이용하여 앱을 다운 받으면 새 Bing을 빠르게 사용 해 볼 수 있습니다.
빙(Bing) 사용법
빙(Bing)의 메인 페이지에서 배워보기(Learn more) 버튼을 누르면 질문의 예시들이 나오고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새로워진 검색기능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저는 두 번째 질문 예시인 특별한 기념일 여행 계획을 선택해 보았습니다. 질문을 선택 하면 새로운 창에서 질문에 대한 검색 결과 화면이 왼쪽에 보여지고 오른쪽으로는 새로운 기능의 검색 결과가 보여집니다. 마치 오픈AI의 챗GPT 처럼 말입니다.
답변을 보면 기념일을 축하해 주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 거리에 위치한 추천 여행지를 보여주고 출처까지 링크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기존의 검색결과보다 입체적인 답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답변에 추가 질문을 하고 대화를 이어나가기 위해 아래의 Let's Chat 을 누르면 이어지는 답변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저는 무엇 때문인지 이어지는 답변이 아닌 첫번째 질문인 3가지 코스메뉴에 대한 답변만 이어져서 당황하기도 했습니다.
빙(Bing)에서 활용 할 수 있는 작업 5가지
새로워진 빙(Bing)에서 할 수 있는 것으로 찻기, 자세한 내용 묻기, 무언가 쓰기, 웹 사이트에 대한 설명 가져오기, 광범위한 질문 하기를 꼽습니다.
찾기 는 이전 처럼 빙(Bing)을 통해 궁금한 것들을 검색 할 수 있습니다. 새로워진 점은 빙 검색 결과가 향상되어 기본 검색에 더 나은 결과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또한 검색 결과에 AI 기술이 요약한 값이 함께 출력됩니다.
자세한 내용 묻기 는 검색 이후 더 많은 질문을 하려면 검색 페이지 상단 에 있는 채팅 아이콘을 클릭하여 추가 질문을 이어 갈 수 있습니다. 대화 형식으로 세분화된 결과 값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무언가 쓰기 는 새롭게 AI 기능을 탑재한 빙(Bing)에서 사용자 대신 쓸 수 있는 능력이 갖춰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택 개량 프로젝트를 조사한 후 요약본을 파트너에게 이메일로 작성해달라고 요청합니다. 이후 사용자는 AI가 쓴 글을 편집하여 이메일 텍스트 상자를 클릭 후 작성 내용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에 대한 설명 가져오기 는 엣지 브라우저에서 빙(Bing) 검색 사이드바를 열면 현재 보고 있는 항목에 대해 요약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질문은 검색을 통해 제공된 링크를 이용하여 자세히 알아보거나 채팅 기능에서 세분화 된 결과값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챗GPT와 달리 빙(Bing)은 한 시간 전에 나타난 뉴스까지 분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앞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맞춘 챗GPT를 이용한 검색 엔진을 사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빙의 활약이 기대됩니다.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영석 예능, 서진이네(BTS 뷔 출연) 출연진 및 방송 정보 (0) | 2023.02.19 |
---|---|
구글 바드(Bard) 사용법 (0) | 2023.02.17 |
JTBC 피트타임(PEAK TIME) 1차 글로벌 투표 방법 (0) | 2023.02.16 |
JTBC 피트타임(PEAK TIME) 본선 진출 팀 공개 (0) | 2023.02.16 |
대한항공 마일리지 개편 정리 (2023년 4월 1일 부터 적용) (0) | 2023.02.15 |
댓글